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9

불면증(Sleep Disorders) 불면증의 DSM-5 진단 기준입니다. A. 수면의 양이나 질이 좋지 않아 다음 중 한 가지 이상의 증상과 연관이 됩니다. 잠이 잘 들지 않습니다. 잠을 자려고 누워도 답답하기만 합니다. 잠을 유지하기 어려워 자주 깨거나 깬 뒤에도 다시 잠들기 어렵습니다. 새벽에 일찍 깨서 더 자고 싶어도 잠들기가 어렵습니다. B. 잠을 잘 자지 못한 것이 사회적, 직업적, 교육적, 학업적, 행동적 등의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심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합니다. C. 불면증이 적어도 일주일에 3회 이상 발생합니다. D. 불면증이 적어도 3개월 이상 지속이 됩니다. E. 수면 문제는 충분히 잠을 잘 수 있는 환경 및 기회가 누어졌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합니다. F. 불면증이 다른 수면-각성 장애(기면증, 호흡 관련 수면장애 등)로.. 2021. 2. 22.
공황장애(Panic Disorder) 공황장애공황발작 및 공황장애(Panic Disorder) 공황장애의 DSM-5 진단 기준입니다(부산 정신과). A. 반복적으로 예상하지 못한 공황발작이 있습니다. 공황발작은 아주 심한 공포와 신체적 고통이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수분 이내에 가장 심하며, 그 증상 중 4가지 이상의 공황장애 증상이 나타나야 합니다. 가슴 두근거림 또는 심장 박동 수의 증가 식은땀 몸이 떨리는 느낌 숨이 가쁘고 가슴이 답답한 느낌 질식할 것 같이 숨쉬기가 힘이 듦 가슴 통증 또는 가슴 불편감 메스껍거나 소화가 안 되는 느낌, 또는 복부 불편감 어지럽거나 멍한 느낌이 들어 쓰러질 것 같음 춥거나 열이 나는 느낌 감각의 느낌이 이상함(감각이 둔하거나 따끔거림) 현실이 아닌 느낌 또는 내가 나에게서 분리된 느낌 통제할 수 없거나 미.. 2021. 2. 22.
우울증(Depressive Disorder) 주요우울장애 A. 다음의 우울증 증상 가운데 5가지 이상의 증상이 2주 연속 지속되며 우울증 증상 중에는 적어도 하나는 우울한 기분 또는 즐거움의 상실이 있어야 합니다. 거의 매일 하루 종일 지속되는 슬픔, 공허감, 절망감 등의 주관적인 우울한 기분을 느끼거나 눈물을 흘리는 등 객관적으로 관찰됩니다. 거의 매일 하루 종일 거의 모든 일상 활동에 대해 즐거움이 뚜렷하게 저하됩니다. 체중 조절을 하고 있지 않는데도 불구하고 체중의 감소가 뚜렷합니다. 거의 매일 불면증이나 과다 수면이 나타납니다. 거의 매일 초조하거나 멍하게 누워만 있는 등 정신 기능이 지연됩니다. 거의 매일 피로하고 일상생활에서 활력이 사라집니다. 거의 매일 부적절하게 죄책감을 느끼거나 스스로에 대해 가치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거의 매일 사.. 2021. 2. 22.
조현병 및 주사제(Schizophrenia) 정의 조현병(정신분열증)은 환청, 망상, 행동이상, 감정이 둔감된 증상과 함께 사회적으로 기능이 장애가 있는 질환을 말합니다. 보통 예후가 좋지 않고 만성적인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본인 뿐만 아니라 가족들에게도 고통을 줄 수 있습니다. 원인 약 인구 100명 당 한 명(1%)이 조현병을 가질 수 있으며, 지역, 인종, 문화와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남자, 여자가 같은 비율로 이 질환을 가질 수 있지만, 남자는 20세 전후, 여자는 30세 전후에 발병이 되며, 예후는 여자에게서 더 좋은 편입니다. 유전, 신경학적 등의 이유인 생물학적 원인과, 정신사회적인 요인이 원인일 수 있으나 생물학적 원인이 더 중요하며, 이는 조현병이 약물에 더욱 반응이 좋을 수 있다는 말 일 수 있습니다. 증상 조현병의 .. 2021. 2. 21.
강박장애(Obsessive-Compulsive Disorder) 강박증(Obsessive-Compulsive Disorder) DSM-5 진단 기준 A. 강박 사고나 강박 행동이 하나 혹은 둘 다 존재하며, (1) 강박 사고는 다음과 같은 1 또는 2로 정의됩니다. 1. 반복적이고 지속적인 생각, 이미지, 충동이 침투적이고 원치 않는 방식으로 경험되며 대부분 현저한 불안감이나 괴로움을 유발합니다. 2. 이러한 생각, 이미지, 충동을 경험하는 사람은 강박 사고를 무시하거나 통제하려고 하며, 또 다른 생각이나 강박 행동을 통해 이를 중화시키려고 노력합니다. (2) 강박 행동은 다음과 같은 1과 2로 정의합니다. 1. 손 씻기나 정리정돈하기, 확인하기와 같은 반복적인 행동과 기도하기, 숫자 세기, 속으로 단어 반복하기 등과 같은 심리 내적인 행위를 강박 사고에 대한 반응으.. 2021. 2. 21.
전환장애(Conversion Disorder) DSM-5 진단 기준 A.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변화된 수의적 운동이나 감각 기능의 증상이 있습니다. B. 임상 소견이 신경학적 혹은 의학적 상태의 불일치에 대한 증거가 있어야 합니다. C. 증상이나 결함이 다른 의학적 장애 또는 정신질환으로 잘 설명되지 않습니다. D. 증상이나 결함이 사회적, 직업적, 또는 다른 중요한 기능 영역에서 임상적으로 현저한 고통이나 손상을 초래하거나, 의학적 평가를 필요로 합니다. 전환장애 증상의 유형 1. 쇠약감이나 마비를 동반 2. 이상 운동 동반(예, 떨림, 근육 긴장 이상, 간대성 근경련, 보행장애) 3. 삼키기 증상 동반 4. 언어 증상 동반(예, 발성곤란, 불분명한 언어) 5. 발작 동반 6. 무감각증이나 감각 손실 동반 7. 특정 감각 증상 동반(예, 시각, 후.. 2021. 2. 21.